jspStudy.war
0.10MB

 

자바의 class(설계도)
중요한 원칙 :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단일 책임의 원칙

서블릿 class의 책임 : 매핑(JSP와 연결)
추천 맥주 찾음, 추천 영화 찾음, 추천 맛집,
총액 계산 등등 서블릿 class의 책임 아니다.
따라서, 새로운 class(설계도)가 필요하다.
설계도(class)에는 반드시 생성자가 필요하다.!!!
-class를 data로 바꿔야 하기 때문에.
-class를 data로 바꾸지 않으면, 설계도(class)안에 있는 변수나
메서드를 사용할 수 없다.
-class를 data로 바꾸는 작업을 "생성"이라고 한다.
-"생성"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를 생성자라고 한다.
-따라서 모든 class에는 반드시 생성자가 있어야 한다.
-생성자는 void도 아니고, return도 아니다.
-생성자의 이름은 설계도(class)이름과 동일하다.


Posted by webpage
,

jspStudy.war
0.08MB

 

Posted by webpage
,

jspStudy.war
0.07MB

 

*********서블릿 작성법*****************

1. 액션을 복사한다.
2. 패키지를 만든다.
3. 위에서 만든 패키지 안에 서블릿을 만든다.(기본에 있는 패키지 안에 만들어도 된다.)
4. 위의 1에서 복사한 내용을 @WebServlet괄호에 / 다음에 넣는다.
    그런데, JSP가 폴더안에 있을 때 폴더이름을 /다음에 넣는다.
5. 콜백 메서드를 method를 참조해서 찾는다. 찾았으면 해당 메서드의 내용을 지운다.
6. 한글처리를 한다.
7. 파라미터를 가지고 와서 자바의 변수에 넣는다.
8. 위의 7에서 만든 변수로 하고싶은 일(총액을 계산)을 한다.
9. 페이지를 JSP로 바꾸면서 위에서 계산된 총액을 JSP로 보낸다.

 

**************************************************************************************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예:버튼을 누른경우), 자동으로 실행되는 메서드 
--- 콜 백 메서드(Call back method)

서블릿이 가지고 있는 메서드(doGet, doPost)는 콜 백 메서드이다.

Posted by webpage
,